이번 시간에는 '머릿속'과 '머리 속'에 대해 살펴보며 올바른 표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 머릿속? (머리+속)? '머릿속'은 '머리'와 '속'이 결합하여 형성된 합성어입니다. 두 개의 명사가 하나로 뭉쳐져 사용되며, 이는 한국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 중 하나입니…
욱여넣다? 우겨넣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로 '욱여넣다'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확실한 것은 '욱여넣다'든 '우겨넣다'든 뜻은 "주위에서 중심으로 함부로 밀어 넣다."라는 뜻으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둘 중 어느 표현이 맞는 것일까요? 우선, 한글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
이번 주제는 우리가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에서도 특히 헷갈리는 '어떡해'와 '어떻게' 그리고 '어떡하다'와 '어떻하다'에 대해 맞는 표기법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어 모두 의미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쓰임새에 따라 틀린 문장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치사를 갈음합니다. 라는 표현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치사를 갈음하다는 표현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치사 , 그리고 갈음하다 의 의미를 각각 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우선 갈음하다에 대해 확인해 봅시다. 갈음하다 갈음하다라는 동사는 "~을 ~으로 갈음하다"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뜻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하는 것 입니다. 갈음하…
의존명사 채와 체의 차이가 무엇인지 이해해 봅시다. 우선 채, 체의 공통점은 둘 다 의존명사이기에 맞춤법에 따라 띄어 씁니다. 그리고 ~은(는)과 함께 사용하는 편입니다. 채 '채'는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 있는 것을 뜻합니다. 산 채로 잡다. 기대앉은 채 고개를 숙인 채 뒷짐을 진 채 모르는 채 체 '체'…
봬요, 뵈요 맞춤법 봬요, 뵈요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봬요'입니다. 그렇다면 왜 '봬요'가 맞는 표기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용언 용언(用言)은 무언가를 행하거나 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 쓸 용(用)과 말씀 언(言)을 사용하며, '봬요' 및 '뵈요'를 비교할 때에는 사물의…
띠다 띄다 차이 띠다를 확실하게 기억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띠다는 동사로 사용하며 띠나 끈을 두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허리띠를 띠다! 줄여서 띠를 띠다! 이 표현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띠다 띠다는 몸에 지니는 것과 같은 구체적인 의미부터 (예시 : 입사 지원서를 띠고 가다.) 용무, 직책, 사명을 지니는 것과 같이 추상적 의미…
"다음에 또 봐요~ 꼭! 아는 척 하세요!" 일상에서 자주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이게 잘못된 표현인 걸 알고 계시는가요? 아는 척과 알은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아는 척 아는 척은 "알다" 동사의 활용에 의존명사 "척"을 사용합니다. "아는" + "척…
연말정산, 년말정산 연말 또는 년말은 해 년(年)과 끝 말(末)을 사용하여 한 해의 마지막 무렵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은 연말정산이라고 표현하고, 다른 사람은 년말정산이라고 할 때 어느 것이 정답일까요? 두음법칙 정답은 연말정산입니다. 두음법칙이 있기 때문입니다. 두음법칙은 머리 두(頭)에 소리 음(音)을 사용하여 머리소리(두음…
빈털터리, 빈털털이 중 맞춤법에 맞는 표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빈털터리'가 맞답니다. 왜 그렇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빈털터리 빈털터리는 '재산을 다 없애고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가난뱅이가 된 사람'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줄여서 '털터리'라고도 하며, '빈탈타리…
바라옵건대, 바라옵건데 이번 주제는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에서도 '바라옵건대'와 '바라옵건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글을 쓰면서 이 두 가지 표현을 혼용해서 많이 쓰는데요, 어느 것이 맞는 맞춤법에 맞는 표현인지 알아보도록 해요~ 바라옵건대, 바라옵건데를 비교하면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바라옵건대'입…
'희한하다', '희안하다'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정답은 '희한하다'입니다. 희한하다 희한하다의 뜻은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를 의미하며, 한자로 쓰면 '드물 희(稀)'에 '드물 한(罕)'을 사용한답니다. 이 단어는 현상이나 사건, 사람 등에 …
자주 쓰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단어인 '휴게'와 '휴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와 철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분하고 사용할 수 있을까요? 휴게 (休憩) '휴게'는 쉴 휴(休)와 쉴 게(憩)를 사용하는 단어이며, '어떤 일을 하거나 길을 걷다가 잠깐 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