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율과 감소율 계산은 데이터 분석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증감 여부를 평가하고, 중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가율과 감소율을 계산하는 기본 식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증가율, 감소율 계산 기본 식
증가율과 감소율을 계산하는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가율(감소율) = (증가 또는 감소한 수치 / 비교하려는 수치) * 100
예를 들어, 최종 수치가 120이고 최초 수치가 100이라면 증가한 수치는 20입니다. 이를 최초 수치 대비 증가율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증가율 = ( (120-100)/100 ) * 100 = 20%
- (V1-V0)/V0*100%
- (최종 수치 - 최초 수치) / 최초 수치 * 100%
엑셀에서 증감률 계산하는 방법
엑셀에서 전년 대비 증감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에 따라 진행해 보세요! 😊
데이터 입력: 먼저 최초 수치와 최종 수치를 각각 A열과 B열에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A2 셀에 기초 값(100), B2 셀에 기말 값(120)을 입력하세요.
증감률 계산 식 입력: C2 셀에 다음과 같은 수식을 입력합니다.
(B2 - A2) / A2 * 100수식 복사: C2 셀을 클릭하고, 우측 하단 모서리에 커서를 대면 커서가 십자 모양으로 바뀔 거예요. 이 상태에서 클릭-드래그하여 아래의 셀로 수식을 복사합니다. 😊
이렇게 하면 증감률을 연속적으로 계산할 수 있답니다.
증감률 분석
매출 증감률을 계산한다고 해봅시다. 매년 매출 변화를 분석할 때 전년 대비 증감률을 활용하면 성장 추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매출이 1,000만 원, 2023년 매출이 1,200만 원이라면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은 20%예요.
시장 점유율 분석
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할 때도 증가율, 감소율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전년 대비 시장 점유율이 15%에서 18%로 증가했다면, 이는 20%의 증가율을 나타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