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코드에도 폰트가 있다? 코드39와 코드128을 비교하여 알아보기

바코드에도 폰트가 있다.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여러 가지 글꼴 중 해당 글에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하기도 합니다. 보통은 굴림, 돋움, 고딕, 바탕 등을 사용할 것이고 진지한 글에는 궁서체를 고려해 보기도 합니다.

이렇게 한글에 여러가지 글꼴이 있는 것처럼, 바코드와 같은 단순히 직선 모양의 코드 형태에도 글꼴이 존재한답니다. 이번 주제는 바코드 폰트 중에 코드39와 코드128을 간단히 비교하며 바코드에도 글꼴이 있다는 것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코드 39 및 코드 128 바코드 폰트

바코드 폰트

글꼴은 영어로 폰트(font)라고 합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바코드에도 폰트가 있으며, 자연어를 2차원 바코드 형태로 변경하는 것을 인코딩(encoding), 반대로 바코드를 다시 자연어로 변환하는 것은 디코딩(decoding)이라 합니다.

코드39 바코드 폰트

코드39는 바코드 폰트 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글꼴이며 인코딩 및 디코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코드39는 영문과 숫자, 그리고 소수의 특수 문자로 이루어지며 총 43개의 글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드39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바코드 스캐너에서 폰트를 인식하여 디코딩할 수 있습니다.

코드128 바코드 폰트

코드128은 고밀도 바코드 인코딩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코드128은 숫자, 대문자 및 소문자, 기호, 제어 코드를 포함하여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 코드 128개의 문자를 모두 인코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코드39 폰트와 코드128 폰트 비교

코드39는 영문과 숫자로 이루어진 간단한 자료를 표현할 때 매우 효과적이며, 반대로 코드128은 단위 면적에 더 많은 자료를 표현할 수 있기에, 공간 배치가 중요하고 많은 자료가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앞에서 코드39바코드가 대부분의 바코드에서 인식이 가능하다고 한 장점에 비해, 코드128은 바코드의 바 사이즈의 종류가 더 많아서(4종류) 정밀도가 높은 인코딩/디코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분 장점 단점
코드39 간단한 글자 표현, 광범위 사용 및 호환성 높은 정밀도를 요하는 곳에 사용하기 부적합
코드128 고밀도, 단위 면적에 직접적인 생성 가능 인코등/디코딩 가능 여부 확인 필요

바코드 폰트의 개발이 필요한 부분은 필히 요구사항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어떠한 바코드 폰트를 사용하는지 점검하여 진행해야 일을 두 번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답니다. 본문에서는 코드39와 코드128만 간단히 비교하였는데, 한글에서 폰트가 2개밖에 없는 게 아니듯이 바코드에도 이외의 여러 가지 폰트가 있습니다.

댓글 쓰기
가져가실 때, 출처 표시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